Normal map format
Direct X - (Y-) 아래에서 위로 , 밝은부분위 아래
OpenGL - (Y+) 위에서 아래로, 밝은부분이 위
노말의 RGB 채널중 G채널(Y)에 대한 방향이 어디로 설정 되어있는지에 따른 포멧 방식이다.
(x,y,z)
(가로,세로,깊이)
언리얼에서는 Dirext X 를 사용한다.
유니티등 은 OpenGL을 사용 한다고 한다.
노말이 뒤집혀서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런경우는 포멧방식에 따라
생기는 경우이니 G채널을 뒤집어 주면 해결 된다.(포토샵 그린채널 인벌트)
섭페 노말 포멧 설정 3가지
(시작할때) 설정할 수 있다.
(작업도중) 노멀 포맷을 Edit -Project configuration 에서 변경할 수 있다.
(마지막에) 텍스쳐 익스포트할때 설정할 수 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섭페에서 막대기 수치를 조절할 때에 쉬프트를 눌르고
바를 움직이면 미세하게 컨트롤이 가능하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섭페에서 레이어탭의 알트를 누른상태에서 마스크를 클릭하면 뷰포트에서 바로 마스크를 볼 수 있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섭페 텍스쳐 익스포트시 네이밍
OUTPUT TEMPLATES에
output maps
$mesh_$textureSet_BaseColor
이런 식으로 설정이 되어있다.
$mesh_
임포트 하였을때 메쉬이름
$textureSet_BaseColor
텍스쳐 셋 세팅의
(Name+)(_BaseColor)
이 텍스쳐 셋 세팅의 이름은
맥스에서의 메테리얼 이름에 의해 결정된다.
섭페 자체에
OUTPUT TEMPLATES에 GENERAL PROPERTIES 에서 Name 수정도 가능하다
output maps에서 수정 가능하다.
EX)
$textureSet_BaseColor
앞에 ($mesh_) 를 지우면 (메테리얼 Name _ BaseColor)가 됨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섭페에서 텍스쳐를 뽑을때 Padding을 설정 하고 싶을때
Dilation+transparent 로 설정 하여
오른쪽에 비 활성화 되어있던 옵션이 활성화 되게된다.
후에 수치를 0으로 주어서 패딩값이 없게 뽑거나
수치를 조절해서 뽑으면 된다.
Dilation(pixels) 기본적으론 비활성화 되어있다.